React의 useMemo 훅의 강력한 기능을 활용해 보세요. 이 종합 가이드는 전 세계 React 개발자를 위한 메모이제이션 모범 사례, 의존성 배열, 성능 최적화 방법을 탐구합니다.
React useMemo 의존성: 메모이제이션 모범 사례 마스터하기
역동적인 웹 개발 세계, 특히 React 생태계에서 컴포넌트 성능 최적화는 매우 중요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의도하지 않은 리렌더링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느리게 만들고 이상적이지 않은 사용자 경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React의 강력한 도구 중 하나가 바로 useMemo
훅입니다. 하지만 이 훅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의존성 배열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이 종합 가이드는 useMemo
의존성 사용에 대한 모범 사례를 깊이 파고들어, 여러분의 React 애플리케이션이 전 세계 사용자를 대상으로 높은 성능과 확장성을 유지하도록 보장합니다.
React에서의 메모이제이션 이해하기
useMemo
의 세부 사항을 살펴보기 전에 메모이제이션 개념 자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메모이제이션은 비용이 많이 드는 함수 호출 결과를 저장하고 동일한 입력이 다시 발생할 때 캐시된 결과를 반환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의 속도를 높이는 최적화 기술입니다. 본질적으로 중복 계산을 피하는 것입니다.
React에서 메모이제이션은 주로 불필요한 컴포넌트 리렌더링을 방지하거나 비용이 많이 드는 계산 결과를 캐싱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상태 변경, prop 업데이트 또는 부모 컴포넌트 리렌더링으로 인해 리렌더링이 자주 발생할 수 있는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특히 중요합니다.
useMemo
의 역할
React의 useMemo
훅은 계산 결과를 메모이제이션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훅은 두 개의 인자를 받습니다:
- 메모이제이션하려는 값을 계산하는 함수.
- 의존성 배열.
React는 의존성 중 하나가 변경된 경우에만 계산 함수를 다시 실행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전에 계산된(캐시된) 값을 반환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매우 유용합니다:
- 비용이 많이 드는 계산: 복잡한 데이터 조작, 필터링, 정렬 또는 무거운 계산을 포함하는 함수.
- 참조 동등성: 객체나 배열 prop에 의존하는 자식 컴포넌트의 불필요한 리렌더링 방지.
useMemo
의 구문
useMemo
의 기본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const memoizedValue = useMemo(() => {
// 비용이 많이 드는 계산
return computeExpensiveValue(a, b);
}, [a, b]);
여기서 computeExpensiveValue(a, b)
는 결과를 메모이제이션하려는 함수입니다. 의존성 배열 [a, b]
는 a
또는 b
가 렌더링 사이에 변경될 경우에만 값을 다시 계산하도록 React에 지시합니다.
의존성 배열의 중요한 역할
의존성 배열은 useMemo
의 핵심입니다. 이 배열은 메모이제이션된 값을 언제 다시 계산해야 하는지를 결정합니다. 올바르게 정의된 의존성 배열은 성능 향상과 정확성 모두에 필수적입니다. 잘못 정의된 배열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오래된 데이터(Stale data): 의존성이 누락되면 메모이제이션된 값이 업데이트되어야 할 때 업데이트되지 않아 버그가 발생하고 오래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성능 이점 없음: 의존성이 필요 이상으로 자주 변경되거나 계산이 실제로 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 경우,
useMemo
는 상당한 성능 이점을 제공하지 않거나 오히려 오버헤드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의존성 정의를 위한 모범 사례
올바른 의존성 배열을 작성하려면 신중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다음은 몇 가지 기본적인 모범 사례입니다:
1. 메모이제이션된 함수에서 사용되는 모든 값을 포함하세요
이것이 황금률입니다. 메모이제이션된 함수 내부에서 읽는 모든 변수, prop 또는 상태는 의존성 배열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React의 린팅 규칙(특히 react-hooks/exhaustive-deps
)은 여기서 매우 유용합니다. 의존성을 놓치면 자동으로 경고를 표시해 줍니다.
예시:
function MyComponent({ user, settings }) {
const userName = user.name;
const showWelcomeMessage = settings.showWelcome;
const welcomeMessage = useMemo(() => {
// 이 계산은 userName과 showWelcomeMessage에 의존합니다
if (showWelcomeMessage) {
return `환영합니다, ${userName}님!`;
} else {
return "환영합니다!";
}
}, [userName, showWelcomeMessage]); // 둘 다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return (
{welcomeMessage}
{/* ... 다른 JSX */}
);
}
이 예제에서는 userName
과 showWelcomeMessage
가 모두 useMemo
콜백 내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들은 의존성 배열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 값들 중 하나라도 변경되면 welcomeMessage
가 다시 계산됩니다.
2. 객체와 배열의 참조 동등성 이해하기
원시 타입(문자열, 숫자, 불리언, null, undefined, 심볼)은 값으로 비교됩니다. 그러나 객체와 배열은 참조로 비교됩니다. 이는 객체나 배열이 동일한 내용을 가지고 있더라도 새로운 인스턴스인 경우 React가 변경된 것으로 간주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나리오 1: 새로운 객체/배열 리터럴 전달
새로운 객체나 배열 리터럴을 메모이제이션된 자식 컴포넌트에 prop으로 직접 전달하거나 메모이제이션된 계산 내에서 사용하면 부모의 모든 렌더링에서 리렌더링이나 재계산을 유발하여 메모이제이션의 이점을 무효화합니다.
function ParentComponent() {
const [count, setCount] = React.useState(0);
// 매 렌더링마다 새로운 객체를 생성합니다
const styleOptions = { backgroundColor: 'blue', padding: 10 };
return (
{/* ChildComponent가 메모이제이션되어 있다면 불필요하게 리렌더링될 것입니다 */}
);
}
const ChildComponent = React.memo(({ data }) => {
console.log('ChildComponent 렌더링됨');
return 자식;
});
이를 방지하려면, 객체나 배열이 자주 변경되지 않는 prop이나 상태에서 파생되거나 다른 훅의 의존성인 경우 객체나 배열 자체를 메모이제이션하세요.
객체/배열에 useMemo
를 사용한 예시:
function ParentComponent() {
const [count, setCount] = React.useState(0);
const baseStyles = { padding: 10 };
// 의존성(예: baseStyles)이 자주 변경되지 않는 경우 객체를 메모이제이션합니다.
// baseStyles가 prop에서 파생되었다면 의존성 배열에 포함될 것입니다.
const styleOptions = React.useMemo(() => ({
...baseStyles, // baseStyles가 안정적이거나 자체적으로 메모이제이션되었다고 가정
backgroundColor: 'blue'
}), [baseStyles]); // baseStyles가 리터럴이 아니거나 변경될 수 있는 경우 포함
return (
);
}
const ChildComponent = React.memo(({ data }) => {
console.log('ChildComponent 렌더링됨');
return 자식;
});
이 수정된 예제에서는 styleOptions
가 메모이제이션됩니다. 만약 baseStyles
(또는 baseStyles
가 의존하는 것)가 변경되지 않으면 styleOptions
는 동일한 인스턴스를 유지하여 ChildComponent
의 불필요한 리렌더링을 방지합니다.
3. 모든 값에 useMemo
사용 피하기
메모이제이션은 공짜가 아닙니다. 캐시된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오버헤드와 의존성을 확인하기 위한 약간의 계산 비용이 포함됩니다. useMemo
는 계산이 명백히 비용이 많이 들거나 최적화를 위해 참조 동등성을 보존해야 할 때(예: React.memo
, useEffect
또는 다른 훅과 함께 사용할 때)에만 신중하게 사용하세요.
useMemo
를 사용하지 말아야 할 때:
- 매우 빠르게 실행되는 간단한 계산.
- 이미 안정적인 값(예: 자주 변경되지 않는 원시 타입 prop).
불필요한 useMemo
예시:
function SimpleComponent({ name }) {
// 이 계산은 간단하며 메모이제이션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 useMemo의 오버헤드가 이점보다 클 가능성이 높습니다.
const greeting = `안녕하세요, ${name}님`;
return {greeting}
;
}
4. 파생 데이터 메모이제이션하기
일반적인 패턴은 기존 prop이나 상태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파생시키는 것입니다. 이 파생 과정이 계산 비용이 많이 든다면 useMemo
의 이상적인 후보입니다.
예시: 큰 목록 필터링 및 정렬하기
function ProductList({ products }) {
const [filterText, setFilterText] = React.useState('');
const [sortOrder, setSortOrder] = React.useState('asc');
const filteredAndSortedProducts = useMemo(() => {
console.log('제품 필터링 및 정렬 중...');
let result = products.filter(product =>
product.name.toLowerCase().includes(filterText.toLowerCase())
);
result.sort((a, b) => {
if (sortOrder === 'asc') {
return a.price - b.price;
} else {
return b.price - a.price;
}
});
return result;
}, [products, filterText, sortOrder]); // 모든 의존성 포함
return (
setFilterText(e.target.value)}
/>
{filteredAndSortedProducts.map(product => (
-
{product.name} - ${product.price}
))}
);
}
이 예제에서 잠재적으로 큰 제품 목록을 필터링하고 정렬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습니다. 결과를 메모이제이션함으로써 이 작업이 ProductList
의 모든 단일 리렌더링에서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products
목록, filterText
또는 sortOrder
가 실제로 변경될 때만 실행되도록 보장합니다.
5. 함수를 의존성으로 다루기
메모이제이션된 함수가 컴포넌트 내에 정의된 다른 함수에 의존하는 경우, 그 함수도 의존성 배열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함수가 컴포넌트 내에서 인라인으로 정의되면 리터럴로 생성된 객체나 배열과 유사하게 모든 렌더링에서 새로운 참조를 갖게 됩니다.
인라인으로 정의된 함수로 인한 문제를 피하려면 useCallback
을 사용하여 메모이제이션해야 합니다.
useCallback
과 useMemo
를 함께 사용한 예시:
function UserProfile({ userId }) {
const [user, setUser] = React.useState(null);
// useCallback을 사용하여 데이터 가져오기 함수를 메모이제이션합니다
const fetchUserData = React.useCallback(async () => {
const response = await fetch(`/api/users/${userId}`);
const data = await response.json();
setUser(data);
}, [userId]); // fetchUserData는 userId에 의존합니다
// 사용자 데이터 처리를 메모이제이션합니다
const userDisplayName = React.useMemo(() => {
if (!user) return '로딩 중...';
// 잠재적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사용자 데이터 처리
return `${user.firstName} ${user.lastName} (${user.username})`;
}, [user]); // userDisplayName은 user 객체에 의존합니다
// 컴포넌트가 마운트되거나 userId가 변경될 때 fetchUserData를 호출합니다
React.useEffect(() => {
fetchUserData();
}, [fetchUserData]); // fetchUserData는 useEffect의 의존성입니다
return (
{userDisplayName}
{/* ... 다른 사용자 정보 */}
);
}
이 시나리오에서:
fetchUserData
는 이벤트 핸들러/함수로서 자식 컴포넌트로 전달되거나 의존성 배열(useEffect
에서처럼)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useCallback
으로 메모이제이션됩니다. 이 함수는userId
가 변경될 때만 새로운 참조를 얻습니다.userDisplayName
의 계산은user
객체에 의존하므로useMemo
로 메모이제이션됩니다.useEffect
는fetchUserData
에 의존합니다.fetchUserData
가useCallback
에 의해 메모이제이션되었기 때문에,useEffect
는fetchUserData
의 참조가 변경될 때(userId
가 변경될 때만 발생)만 다시 실행되어 중복 데이터 가져오기를 방지합니다.
6. 의존성 배열 생략하기: useMemo(() => compute(), [])
의존성 배열로 빈 배열 []
을 제공하면 함수는 컴포넌트가 마운트될 때 한 번만 실행되며 결과는 무기한 메모이제이션됩니다.
const initialConfig = useMemo(() => {
// 이 계산은 마운트 시 한 번만 실행됩니다
return loadInitialConfiguration();
}, []); // 빈 의존성 배열
이는 값이 진정으로 정적이며 컴포넌트의 생명주기 동안 다시 계산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7. 의존성 배열을 완전히 생략하기: useMemo(() => compute())
의존성 배열을 완전히 생략하면 함수는 모든 렌더링에서 실행됩니다. 이는 사실상 메모이제이션을 비활성화하며, 매우 특수하고 드문 사용 사례가 없는 한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이는 useMemo
없이 함수를 직접 호출하는 것과 기능적으로 동일합니다.
흔한 함정과 이를 피하는 방법
모범 사례를 염두에 두더라도 개발자들은 흔한 함정에 빠질 수 있습니다:
함정 1: 의존성 누락
문제: 메모이제이션된 함수 내부에서 사용된 변수를 포함하는 것을 잊는 것. 이는 오래된 데이터와 미묘한 버그로 이어집니다.
해결책: 항상 exhaustive-deps
규칙이 활성화된 eslint-plugin-react-hooks
패키지를 사용하세요. 이 규칙은 대부분의 누락된 의존성을 잡아낼 것입니다.
함정 2: 과도한 메모이제이션
문제: 오버헤드를 감수할 가치가 없는 간단한 계산이나 값에 useMemo
를 적용하는 것. 이는 때때로 성능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해결책: 애플리케이션을 프로파일링하세요. React DevTools를 사용하여 성능 병목 현상을 식별하세요. 이점이 비용을 능가할 때만 메모이제이션하세요. 메모이제이션 없이 시작하고 성능 문제가 발생하면 추가하세요.
함정 3: 객체/배열의 잘못된 메모이제이션
문제: 메모이제이션된 함수 내에서 새로운 객체/배열 리터럴을 생성하거나, 먼저 메모이제이션하지 않고 의존성으로 전달하는 것.
해결책: 참조 동등성을 이해하세요. 객체와 배열이 생성 비용이 비싸거나 그 안정성이 자식 컴포넌트 최적화에 중요한 경우 useMemo
를 사용하여 메모이제이션하세요.
함정 4: useCallback
없이 함수 메모이제이션하기
문제: useMemo
를 사용하여 함수를 메모이제이션하는 것.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useMemo(() => () => {...}, [...])
), useCallback
이 함수를 메모이제이션하는 데 관용적이고 의미적으로 더 정확한 훅입니다.
해결책: 함수 자체를 메모이제이션해야 할 때는 useCallback(fn, deps)
를 사용하세요. 함수를 호출한 *결과*를 메모이제이션해야 할 때는 useMemo(() => fn(), deps)
를 사용하세요.
언제 useMemo
를 사용해야 하는가: 결정 트리
언제 useMemo
를 사용해야 할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다음을 고려해 보세요:
- 계산 비용이 많이 듭니까?
- 예: 다음 질문으로 진행하세요.
- 아니요:
useMemo
를 사용하지 마세요.
- 이 계산 결과가 자식 컴포넌트의 불필요한 리렌더링을 방지하기 위해 렌더링 간에 안정적이어야 합니까 (예:
React.memo
와 함께 사용할 때)?- 예: 다음 질문으로 진행하세요.
- 아니요:
useMemo
를 사용하지 마세요 (계산이 매우 비싸서 자식 컴포넌트가 그 안정성에 직접적으로 의존하지 않더라도 모든 렌더링에서 피하고 싶은 경우가 아니라면).
- 계산이 prop이나 상태에 의존합니까?
- 예: 의존하는 모든 prop과 상태 변수를 의존성 배열에 포함하세요. 계산이나 의존성에서 사용되는 객체/배열이 인라인으로 생성되는 경우에도 메모이제이션되었는지 확인하세요.
- 아니요: 계산이 진정으로 정적이고 비용이 많이 든다면 빈 의존성 배열
[]
에 적합할 수 있으며, 진정으로 전역적이라면 컴포넌트 밖으로 옮길 수도 있습니다.
React 성능에 대한 글로벌 고려사항
전 세계 사용자를 대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때 성능 고려사항은 더욱 중요해집니다. 전 세계 사용자는 매우 다양한 네트워크 조건, 장치 기능 및 지리적 위치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합니다.
- 다양한 네트워크 속도: 느리거나 불안정한 인터넷 연결은 최적화되지 않은 JavaScript와 빈번한 리렌더링의 영향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메모이제이션은 클라이언트 측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줄여 대역폭이 제한된 사용자의 부담을 덜어줍니다.
- 다양한 장치 기능: 모든 사용자가 최신 고성능 하드웨어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성능이 낮은 장치(예: 구형 스마트폰, 저가형 노트북)에서는 불필요한 계산의 오버헤드가 눈에 띄게 느린 경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클라이언트 측 렌더링(CSR) vs. 서버 측 렌더링(SSR) / 정적 사이트 생성(SSG):
useMemo
는 주로 클라이언트 측 렌더링을 최적화하지만, SSR/SSG와 연계하여 그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서버 측에서 가져온 데이터는 prop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에서 파생 데이터를 메모이제이션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합니다. - 국제화(i18n) 및 현지화(l10n):
useMemo
구문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복잡한 i18n 로직(예: 로케일에 따라 날짜, 숫자 또는 통화 서식 지정)은 계산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작업을 메모이제이션하면 UI 업데이트가 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지화된 가격의 큰 목록을 서식 지정하는 것은useMemo
로부터 상당한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메모이제이션 모범 사례를 적용함으로써, 위치나 사용하는 장치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을 위한 더 접근성 있고 성능이 뛰어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결론
useMemo
는 계산 결과를 캐싱하여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React 개발자의 강력한 도구입니다. 그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는 열쇠는 의존성 배열에 대한 세심한 이해와 정확한 구현에 있습니다. 모든 필요한 의존성 포함, 참조 동등성 이해, 과도한 메모이제이션 방지, 함수에 useCallback
활용과 같은 모범 사례를 준수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이 효율적이고 견고하도록 보장할 수 있습니다.
성능 최적화는 지속적인 과정임을 기억하세요. 항상 애플리케이션을 프로파일링하고, 실제 병목 현상을 식별하며, useMemo
와 같은 최적화를 전략적으로 적용하세요. 신중하게 적용하면 useMemo
는 전 세계 사용자를 즐겁게 하는 더 빠르고, 반응성이 뛰어나며, 확장 가능한 React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핵심 요약:
- 비용이 많이 드는 계산과 참조 안정성을 위해
useMemo
를 사용하세요. - 메모이제이션된 함수 내부에서 읽는 모든 값을 의존성 배열에 포함하세요.
- ESLint
exhaustive-deps
규칙을 활용하세요. - 객체와 배열의 참조 동등성에 유의하세요.
- 함수를 메모이제이션할 때는
useCallback
을 사용하세요. - 불필요한 메모이제이션을 피하고 코드를 프로파일링하세요.
useMemo
와 그 의존성을 마스터하는 것은 글로벌 사용자 기반에 적합한 고품질의 성능 좋은 React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있어 중요한 단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