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in-JS 라이브러리 최적화를 위한 React의 useInsertionEffect 훅을 알아보세요. 성능 향상, 레이아웃 스래싱 감소, 일관된 스타일링을 보장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React useInsertionEffect: CSS-in-JS 최적화의 혁신
React 생태계는 성능 병목 현상을 해결하고 개발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기능과 API가 등장하면서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React 18에 도입된 useInsertionEffect
훅입니다. 이 훅은 CSS-in-JS 라이브러리를 최적화하는 강력한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특히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당한 성능 향상을 이끌어냅니다.
CSS-in-JS란 무엇인가?
useInsertionEffect
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CSS-in-JS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이는 CSS 스타일을 JavaScript 컴포넌트 내에서 작성하고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기존의 CSS 스타일시트 대신, CSS-in-JS 라이브러리는 개발자가 React 코드 내에서 직접 스타일을 정의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인기 있는 CSS-in-JS 라이브러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Styled-components
- Emotion
- Linaria
- Aphrodite
CSS-in-JS는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합니다:
- 컴포넌트 수준 스코핑: 스타일이 컴포넌트 내에 캡슐화되어 이름 충돌을 방지하고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킵니다.
- 동적 스타일링: 컴포넌트 props나 애플리케이션 상태에 따라 스타일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 코드 분리 및 배치(Colocation): 스타일이 적용되는 컴포넌트와 함께 위치하여 코드 구성을 개선합니다.
- 데드 코드 제거: 사용되지 않는 스타일을 자동으로 제거하여 CSS 번들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CSS-in-JS는 성능 문제를 야기하기도 합니다. 렌더링 중에 CSS를 동적으로 주입하면 레이아웃 스래싱(layout thrashing)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스타일 변경으로 인해 브라우저가 반복적으로 레이아웃을 다시 계산하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특히 저사양 기기나 깊게 중첩된 컴포넌트 트리를 가진 애플리케이션에서 버벅이는 애니메이션과 좋지 않은 사용자 경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레이아웃 스래싱(Layout Thrashing) 이해하기
레이아웃 스래싱은 JavaScript 코드가 스타일 변경 후, 브라우저가 레이아웃을 다시 계산할 기회를 갖기 전에 레이아웃 속성(예: offsetWidth
, offsetHeight
, scrollTop
)을 읽을 때 발생합니다. 이는 브라우저가 동기적으로 레이아웃을 다시 계산하도록 강제하여 성능 병목 현상을 유발합니다. CSS-in-JS의 맥락에서는, 렌더링 단계에서 스타일이 DOM에 주입되고, 이후 계산이 업데이트된 레이아웃에 의존할 때 자주 발생합니다.
다음의 간단한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function MyComponent() {
const [width, setWidth] = React.useState(0);
const ref = React.useRef(null);
React.useEffect(() => {
// 동적으로 CSS 주입 (예: styled-components 사용)
ref.current.style.width = '200px';
// 스타일 변경 직후 레이아웃 속성 읽기
setWidth(ref.current.offsetWidth);
}, []);
return My Element;
}
이 시나리오에서는 width
스타일이 설정된 직후에 offsetWidth
를 읽습니다. 이는 동기적인 레이아웃 계산을 트리거하여 잠재적으로 레이아웃 스래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useInsertionEffect
소개
useInsertionEffect
는 CSS-in-JS 라이브러리에서 동적 CSS 주입과 관련된 성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 React 훅입니다. 이를 통해 브라우저가 화면을 그리기 *전*에 DOM에 CSS 규칙을 삽입할 수 있어, 레이아웃 스래싱을 최소화하고 더 부드러운 렌더링 경험을 보장합니다.
useInsertionEffect
와 useEffect
, useLayoutEffect
와 같은 다른 React 훅과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useInsertionEffect
: DOM이 변경되기 *전*에 동기적으로 실행되어, 브라우저가 레이아웃을 계산하기 전에 스타일을 주입할 수 있습니다. DOM에 접근할 수 없으며 CSS 규칙 삽입과 같은 작업에만 사용해야 합니다.useLayoutEffect
: DOM이 변경된 *후*, 브라우저가 화면을 그리기 *전*에 동기적으로 실행됩니다. DOM에 접근할 수 있으며 레이아웃을 측정하고 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신중하게 사용하지 않으면 레이아웃 스래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useEffect
: 브라우저가 화면을 그린 *후*에 비동기적으로 실행됩니다. 즉각적인 DOM 접근이나 레이아웃 측정이 필요 없는 부수 효과에 적합합니다.
useInsertionEffect
를 사용함으로써, CSS-in-JS 라이브러리는 렌더링 파이프라인의 초기 단계에서 스타일을 주입하여 브라우저가 레이아웃 계산을 최적화하고 레이아웃 스래싱의 가능성을 줄일 시간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습니다.
useInsertionEffect
사용 방법
useInsertionEffect
는 일반적으로 CSS-in-JS 라이브러리 내에서 DOM에 CSS 규칙을 삽입하는 것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자신만의 CSS-in-JS 솔루션을 구축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애플리케이션 코드에서 직접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CSS-in-JS 라이브러리가 useInsertionEffect
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간단한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import * as React from 'react';
const styleSheet = new CSSStyleSheet();
document.adoptedStyleSheets = [...document.adoptedStyleSheets, styleSheet];
function insertCSS(rule) {
styleSheet.insertRule(rule, styleSheet.cssRules.length);
}
export function useMyCSS(css) {
React.useInsertionEffect(() => {
insertCSS(css);
}, [css]);
}
function MyComponent() {
useMyCSS('.my-class { color: blue; }');
return Hello, World!;
}
설명:
- 새로운
CSSStyleSheet
가 생성됩니다. 이는 CSS 규칙을 관리하는 성능 좋은 방법입니다. - 스타일시트가 문서에 채택되어 규칙이 활성화됩니다.
useMyCSS
커스텀 훅은 CSS 규칙을 입력으로 받습니다.useInsertionEffect
내에서,insertCSS
를 사용하여 CSS 규칙이 스타일시트에 삽입됩니다.- 이 훅은
css
규칙에 의존하므로, 규칙이 변경될 때 다시 실행됩니다.
중요 고려사항:
useInsertionEffect
는 클라이언트 측에서만 실행됩니다.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 중에는 실행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CSS-in-JS 라이브러리가 렌더링 중에 생성된 CSS를 수집하여 HTML에 주입하는 방식으로 SSR을 적절하게 처리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useInsertionEffect
는 DOM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이 훅 내에서 DOM 요소를 읽거나 조작하려고 시도하지 마세요. 오직 CSS 규칙 삽입에만 집중해야 합니다.- 컴포넌트 트리 내에서 여러
useInsertionEffect
호출의 실행 순서는 보장되지 않습니다. CSS 명시도와 스타일 간의 잠재적 충돌에 유의하세요. 순서가 중요하다면 CSS 삽입을 관리하기 위해 더 통제된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세요.
useInsertionEffect
사용의 이점
useInsertionEffect
의 주요 이점은 특히 CSS-in-JS에 크게 의존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성능 향상입니다. 렌더링 파이프라인의 더 이른 단계에서 스타일을 주입함으로써 레이아웃 스래싱을 완화하고 더 부드러운 사용자 경험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주요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레이아웃 스래싱 감소: 레이아웃 계산 전에 스타일을 주입하여 동기적인 재계산을 최소화하고 렌더링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 부드러운 애니메이션: 레이아웃 스래싱을 방지함으로써
useInsertionEffect
는 더 부드러운 애니메이션과 트랜지션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성능 향상: 특히 깊게 중첩된 컴포넌트 트리를 가진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전반적인 렌더링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습니다.
- 일관된 스타일링: 다양한 브라우저와 기기에서 스타일이 일관되게 적용되도록 보장합니다.
실제 사용 사례
애플리케이션 코드에서 useInsertionEffect
를 직접 사용하는 것은 드물지만, CSS-in-JS 라이브러리 제작자에게는 매우 중요합니다. 이것이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Styled-components
가장 인기 있는 CSS-in-JS 라이브러리 중 하나인 Styled-components는 스타일 주입을 최적화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useInsertionEffect
를 채택했습니다. 이 변경으로 인해 styled-components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특히 복잡한 스타일링 요구 사항이 있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눈에 띄는 성능 향상이 있었습니다.
Emotion
또 다른 널리 사용되는 CSS-in-JS 라이브러리인 Emotion 또한 성능 향상을 위해 useInsertionEffect
를 활용합니다. 렌더링 과정의 초기에 스타일을 주입함으로써 Emotion은 레이아웃 스래싱을 줄이고 전반적인 렌더링 속도를 개선합니다.
기타 라이브러리
다른 CSS-in-JS 라이브러리들도 성능상의 이점을 활용하기 위해 useInsertionEffect
를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채택하고 있습니다. React 생태계가 발전함에 따라, 더 많은 라이브러리가 이 훅을 내부 구현에 통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언제 useInsertionEffect
를 사용해야 하는가
앞서 언급했듯이,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코드에서 useInsertionEffect
를 직접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대신, 주로 CSS-in-JS 라이브러리 제작자들이 스타일 주입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useInsertionEffect
가 특히 유용한 몇 가지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습니다:
- CSS-in-JS 라이브러리 구축: 자신만의 CSS-in-JS 라이브러리를 만드는 경우, 스타일 주입을 최적화하고 레이아웃 스래싱을 방지하기 위해
useInsertionEffect
는 필수적입니다. - CSS-in-JS 라이브러리에 기여: 기존 CSS-in-JS 라이브러리에 기여하는 경우,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useInsertionEffect
사용을 고려해 보세요. - CSS-in-JS 관련 성능 문제 경험: CSS-in-JS와 관련된 성능 병목 현상을 겪고 있다면, 사용 중인 라이브러리가
useInsertionEffect
를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하세요. 그렇지 않다면, 라이브러리 유지 관리자에게 채택을 제안하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useInsertionEffect
의 대안
useInsertionEffect
가 CSS-in-JS를 최적화하는 강력한 도구이긴 하지만, 스타일링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다른 기술들도 있습니다.
- CSS 모듈: CSS 모듈은 컴포넌트 수준의 스코핑을 제공하며 이름 충돌을 피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CSS-in-JS처럼 동적 스타일링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더 간단한 스타일링 요구 사항에 좋은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 Atomic CSS: Atomic CSS(유틸리티 우선 CSS라고도 함)는 요소를 스타일링하기 위해 결합할 수 있는 작고 재사용 가능한 CSS 클래스를 만드는 것을 포함합니다. 이 접근 방식은 CSS 번들 크기를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정적 CSS: 동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없는 스타일의 경우, 전통적인 CSS 스타일시트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세요. 스타일이 미리 로드되고 동적 주입이 필요 없기 때문에 CSS-in-JS보다 성능이 더 좋을 수 있습니다.
useLayoutEffect
의 신중한 사용: 스타일 변경 후 레이아웃 속성을 읽어야 하는 경우,useLayoutEffect
를 신중하게 사용하여 레이아웃 스래싱을 최소화하세요. 불필요하게 레이아웃 속성을 읽는 것을 피하고, 업데이트를 일괄 처리하여 레이아웃 재계산 횟수를 줄이세요.
CSS-in-JS 최적화를 위한 모범 사례
useInsertionEffect
를 사용하든 안 하든, CSS-in-JS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따를 수 있는 몇 가지 모범 사례가 있습니다:
- 동적 스타일 최소화: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동적 스타일 사용을 피하세요. 정적 스타일이 일반적으로 더 성능이 좋습니다.
- 스타일 업데이트 일괄 처리: 스타일을 동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하는 경우, 업데이트를 함께 묶어 리렌더링 횟수를 줄이세요.
- 메모이제이션 사용: 메모이제이션 기술(예:
React.memo
,useMemo
,useCallback
)을 사용하여 CSS-in-JS에 의존하는 컴포넌트의 불필요한 리렌더링을 방지하세요. - 애플리케이션 프로파일링: React DevTools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프로파일링하고 CSS-in-JS와 관련된 성능 병목 현상을 식별하세요.
- CSS 변수(사용자 지정 속성) 고려: CSS 변수는 애플리케이션 전반에 걸쳐 동적 스타일을 관리하는 데 있어 성능 좋은 방법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결론
useInsertionEffect
는 React 생태계에 가치 있는 추가 기능으로, CSS-in-JS 라이브러리를 최적화하는 강력한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렌더링 파이프라인의 초기 단계에서 스타일을 주입함으로써 레이아웃 스래싱을 완화하고 더 부드러운 사용자 경험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코드에서 useInsertionEffect
를 직접 사용하지는 않겠지만, 그 목적과 이점을 이해하는 것은 최신 React 모범 사례를 따라가는 데 중요합니다. CSS-in-JS가 계속 발전함에 따라, 전 세계 사용자에게 더 빠르고 반응성이 뛰어난 웹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더 많은 라이브러리가 useInsertionEffect
및 기타 성능 최적화 기술을 채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CSS-in-JS의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고 useInsertionEffect
와 같은 도구를 활용함으로써, 개발자는 전 세계의 다양한 기기와 네트워크에서 뛰어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고성능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React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항상 애플리케이션을 프로파일링하여 성능 병목 현상을 식별하고 해결하며, 끊임없이 진화하는 웹 개발 세계의 최신 모범 사례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얻는 것을 잊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