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React의 동시성 모드와 중단 가능한 렌더링을 알아보세요. 이 패러다임 전환이 앱 성능, 반응성, 그리고 전 세계 사용자의 경험을 어떻게 향상시키는지 배워보세요.

React 동시성 모드: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위한 중단 가능한 렌더링 마스터하기

끊임없이 진화하는 프론트엔드 개발 환경에서 사용자 경험(UX)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전 세계 사용자들은 자신의 기기, 네트워크 상태, 또는 작업의 복잡성에 관계없이 애플리케이션이 빠르고, 부드럽고, 반응적이기를 기대합니다. React와 같은 라이브러리의 전통적인 렌더링 메커니즘은 특히 리소스 집약적인 작업을 수행하거나 여러 업데이트가 브라우저의 주목을 받기 위해 경쟁할 때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React의 동시성 모드(현재는 React의 동시성(concurrency)이라고 간단히 불림)가 등장하며, 중단 가능한 렌더링이라는 혁신적인 개념을 도입합니다. 이 블로그 포스트에서는 동시성 모드의 복잡한 내용을 깊이 파고들어, 중단 가능한 렌더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왜 이것이 게임 체인저인지, 그리고 이를 활용하여 전 세계 사용자를 위한 탁월한 사용자 경험을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기존 렌더링 방식의 한계 이해하기

동시성 모드의 탁월함을 알아보기 전에, React가 역사적으로 사용해 온 전통적인 동기식 렌더링 모델이 제기하는 문제점들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동기식 모델에서 React는 UI 업데이트를 하나씩, 블로킹 방식으로 처리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을 단일 차선 고속도로라고 상상해 보세요. 렌더링 작업이 시작되면, 다른 어떤 작업이 시작되기 전에 그 여정을 완료해야 합니다. 이는 여러 가지 UX를 저해하는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시나리오를 생각해 봅시다: 사용자가 검색창에 입력하는 동안, 백그라운드에서는 대량의 데이터 목록을 가져와 렌더링하고 있습니다. 동기식 모델에서는 목록 렌더링이 검색창의 입력 핸들러를 막아 타이핑 경험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 더 심각한 경우, 목록이 매우 크면 렌더링이 완료될 때까지 전체 애플리케이션이 멈춘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동시성 모드 소개: 패러다임의 전환

동시성 모드는 전통적인 의미에서 "켜는" 기능이 아니라, 중단 가능한 렌더링과 같은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React의 새로운 작동 모드입니다. 핵심적으로, 동시성은 React가 여러 렌더링 작업을 동시에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 이러한 작업을 중단, 일시 중지 및 재개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긴급성과 중요도에 따라 업데이트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정교한 스케줄러를 통해 달성됩니다.

우리의 고속도로 비유를 다시 생각해 보되, 이번에는 여러 차선과 교통 관제 시스템이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동시성 모드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지능적인 교통 관제사를 도입합니다:

동기식, 순차적 처리에서 비동기식, 우선순위 기반 작업 관리로의 이러한 근본적인 전환이 바로 중단 가능한 렌더링의 본질입니다.

중단 가능한 렌더링이란 무엇인가?

중단 가능한 렌더링은 React가 렌더링 작업을 실행 도중에 일시 중지하고 나중에 재개하거나, 부분적으로 렌더링된 결과를 버리고 더 새롭고 우선순위가 높은 업데이트를 선택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이는 오래 실행되는 렌더링 작업이 더 작은 덩어리로 나뉠 수 있고, React가 필요에 따라 이러한 덩어리들과 다른 작업(예: 사용자 입력에 응답) 사이를 전환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중단 가능한 렌더링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러한 "중단"과 "재개" 능력이야말로 React의 동시성을 매우 강력하게 만드는 요소입니다. 이는 애플리케이션이 복잡한 렌더링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도 UI가 반응성을 유지하고 중요한 사용자 상호작용이 신속하게 처리되도록 보장합니다.

주요 기능 및 동시성 활성화 방식

동시성 모드는 중단 가능한 렌더링의 기반 위에 구축된 여러 강력한 기능을 잠금 해제합니다. 가장 중요한 몇 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1. 데이터 페칭을 위한 Suspense

Suspense는 React 컴포넌트 내에서 데이터 페칭과 같은 비동기 작업을 선언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이전에는 여러 비동기 작업의 로딩 상태를 관리하는 것이 복잡해지고 중첩된 조건부 렌더링으로 이어질 수 있었습니다. Suspense는 이를 크게 단순화합니다.

동시성과의 연동 방식: Suspense를 사용하는 컴포넌트가 데이터를 가져와야 할 때, 렌더링을 "일시 중단(suspend)"하고 대체 UI(예: 로딩 스피너)를 표시합니다. 그러면 React의 스케줄러는 나머지 UI를 차단하지 않고 이 컴포넌트의 렌더링을 일시 중지할 수 있습니다. 그 동안 다른 업데이트나 사용자 상호작용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가 페칭되면 컴포넌트는 실제 데이터로 렌더링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중단 가능한 특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React는 데이터를 기다리느라 멈추지 않습니다.

글로벌 예시: 도쿄의 사용자가 제품 페이지를 보고 있는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상상해 보세요. 동시에 런던의 사용자는 장바구니에 상품을 추가하고 있고, 뉴욕의 다른 사용자는 제품을 검색하고 있습니다. 만약 도쿄의 제품 페이지가 몇 초가 걸리는 상세 사양을 가져와야 한다면, Suspense는 애플리케이션의 나머지 부분(런던의 장바구니나 뉴욕의 검색 등)이 완전히 반응성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React는 도쿄 제품 페이지의 렌더링을 일시 중지하고, 런던 장바구니 업데이트와 뉴욕 검색을 처리한 다음, 데이터가 준비되면 도쿄 페이지를 재개할 수 있습니다.

코드 스니펫 (예시):

// Promise를 반환하는 fetchData 함수를 가정합니다
function fetchUserData() {
  return new Promise(resolve => {
    setTimeout(() => {
      resolve({ name: 'Alice' });
    }, 2000);
  });
}

// Suspense를 지원하는 가상의 데이터 페칭 훅
function useUserData() {
  const data = fetch(url);
  if (data.status === 'pending') {
    throw new Promise(resolve => {
      // Suspense가 가로채는 부분입니다
      setTimeout(() => resolve(null), 2000); 
    });
  }
  return data.value;
}

function UserProfile() {
  const userData = useUserData(); // 이 호출은 렌더링을 일시 중단할 수 있습니다
  return 
Welcome, {userData.name}!
; } function App() { return ( Loading user...
}> ); }

2. 자동 배치(Automatic Batching)

배칭은 여러 상태 업데이트를 단일 리렌더링으로 그룹화하는 과정입니다. 전통적으로 React는 이벤트 핸들러 내에서 발생한 업데이트만 배치했습니다. 이벤트 핸들러 외부에서 시작된 업데이트(예: Promise나 `setTimeout` 내)는 배치되지 않아 불필요한 리렌더링을 유발했습니다.

동시성과의 연동 방식: 동시성 모드를 사용하면 React는 어디서 발생하든 모든 상태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배치합니다. 이는 여러 상태 업데이트가 빠르게 연속적으로 발생할 경우(예: 여러 비동기 작업이 완료될 때), React가 이를 그룹화하여 단일 리렌더링을 수행함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키고 여러 렌더링 주기의 오버헤드를 줄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시: 두 개의 다른 API에서 데이터를 가져온다고 가정해 봅시다. 두 작업이 모두 완료되면 두 개의 별도 상태를 업데이트합니다. 이전 React 버전에서는 이것이 두 번의 리렌더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동시성 모드에서는 이러한 업데이트가 배치되어 단일의 더 효율적인 리렌더링이 발생합니다.

3. 트랜지션(Transitions)

트랜지션은 긴급한 업데이트와 긴급하지 않은 업데이트를 구별하기 위해 도입된 새로운 개념입니다. 이는 중단 가능한 렌더링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메커니즘입니다.

긴급한 업데이트: 입력 필드에 타이핑하거나, 버튼을 클릭하거나, UI 요소를 직접 조작하는 것과 같이 즉각적인 피드백이 필요한 업데이트입니다. 즉각적으로 느껴져야 합니다.

트랜지션 업데이트: 시간이 더 오래 걸릴 수 있고 즉각적인 피드백이 필요하지 않은 업데이트입니다. 예를 들어 링크를 클릭한 후 새 페이지를 렌더링하거나, 큰 목록을 필터링하거나, 클릭에 직접 반응하지 않는 관련 UI 요소를 업데이트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업데이트는 중단될 수 있습니다.

동시성과의 연동 방식: `startTransition` API를 사용하여 특정 상태 업데이트를 트랜지션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React의 스케줄러는 이러한 업데이트를 낮은 우선순위로 처리하고, 더 긴급한 업데이트가 발생하면 중단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긴급하지 않은 업데이트(예: 큰 목록 렌더링)가 진행 중인 동안에도 긴급한 업데이트(예: 검색창에 타이핑)가 우선적으로 처리되어 UI가 반응성을 유지하도록 보장합니다.

글로벌 예시: 여행 예약 웹사이트를 생각해 봅시다. 사용자가 새로운 목적지를 선택하면 항공편 데이터 가져오기, 호텔 예약 가능 여부 업데이트, 지도 렌더링 등 일련의 업데이트가 촉발될 수 있습니다. 만약 초기 업데이트가 아직 처리 중일 때 사용자가 즉시 여행 날짜를 변경하기로 결정하면, `startTransition` API는 React가 항공편/호텔 업데이트를 일시 중지하고, 긴급한 날짜 변경을 처리한 다음, 새로운 날짜를 기반으로 항공편/호텔 페칭을 재개하거나 다시 시작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는 복잡한 업데이트 시퀀스 동안 UI가 멈추는 것을 방지합니다.

코드 스니펫 (예시):

import { useState, useTransition } from 'react';

function SearchResults() {
  const [isPending, startTransition] = useTransition();
  const [query, setQuery] = useState('');
  const [results, setResults] = useState([]);

  const handleQueryChange = (e) => {
    const newQuery = e.target.value;
    setQuery(newQuery);

    // 이 업데이트를 트랜지션으로 표시합니다
    startTransition(() => {
      // 결과 페칭을 시뮬레이션하며, 이 작업은 중단될 수 있습니다
      fetchResults(newQuery).then(res => setResults(res));
    });
  };

  return (
    
{isPending &&
Loading results...
}
    {results.map(item => (
  • {item.name}
  • ))}
); }

4. 라이브러리 및 생태계 통합

동시성 모드의 이점은 React의 핵심 기능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전체 생태계가 이에 적응하고 있습니다. 라우팅 솔루션이나 상태 관리 도구와 같이 React와 상호작용하는 라이브러리들도 동시성을 활용하여 더 부드러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시: 라우팅 라이브러리는 트랜지션을 사용하여 페이지 간을 이동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현재 페이지가 완전히 렌더링되기 전에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 라우팅 업데이트가 원활하게 중단되거나 취소되고 새로운 탐색이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항상 의도한 최신 뷰를 볼 수 있습니다.

동시성 기능 활성화 및 사용 방법

동시성 모드는 근본적인 변화이지만, 그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간단하며, 특히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나 Suspense 및 Transitions와 같은 기능을 채택할 때는 최소한의 코드 변경만 필요합니다.

1. React 버전

동시성 기능은 React 18 이상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호환되는 버전을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하세요:

npm install react@latest react-dom@latest

2. Root API (createRoot)

동시성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주요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을 마운트할 때 새로운 `createRoot` API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 index.js 또는 main.jsx
import ReactDOM from 'react-dom/client';
import App from './App';

const 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root');
const root = ReactDOM.createRoot(container);
root.render();

`createRoot`를 사용하면 자동 배치, 트랜지션, Suspense를 포함한 모든 동시성 기능이 자동으로 활성화됩니다.

참고: 이전의 `ReactDOM.render` API는 동시성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createRoot`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것은 동시성을 잠금 해제하는 핵심 단계입니다.

3. Suspense 구현하기

앞서 보여드린 바와 같이, Suspense는 비동기 작업을 수행하는 컴포넌트를 <Suspense> 경계로 감싸고 fallback prop을 제공하여 구현합니다.

모범 사례:

4. 트랜지션 사용하기 (startTransition)

긴급하지 않은 UI 업데이트를 식별하고 startTransition으로 감싸세요.

사용 시기:

예시: 테이블에 표시된 대규모 데이터셋의 복잡한 필터링을 위해, 필터 쿼리 상태를 설정한 다음 실제 필터링 및 테이블 행의 리렌더링을 위해 startTransition을 호출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필터 기준을 다시 빠르게 변경할 경우 이전 필터링 작업이 안전하게 중단될 수 있습니다.

전 세계 사용자를 위한 중단 가능한 렌더링의 이점

중단 가능한 렌더링과 동시성 모드의 장점은 다양한 네트워크 조건과 기기 성능을 가진 글로벌 사용자 기반을 고려할 때 더욱 증폭됩니다.

전 세계 학생들이 사용하는 언어 학습 앱을 생각해 보세요. 한 학생이 새로운 강의를 다운로드하는 동안(잠재적으로 긴 작업) 다른 학생이 빠른 어휘 문제를 풀려고 할 때, 중단 가능한 렌더링은 다운로드가 진행 중이더라도 어휘 문제가 즉시 응답되도록 보장합니다. 이는 학습에 즉각적인 피드백이 중요한 교육 도구에 매우 중요합니다.

잠재적인 과제 및 고려 사항

동시성 모드는 상당한 이점을 제공하지만, 이를 채택하는 데는 학습 곡선과 몇 가지 고려 사항이 따릅니다:

React 동시성의 미래

React의 동시성을 향한 여정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팀은 계속해서 스케줄러를 개선하고, 새로운 API를 도입하며, 개발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오프스크린 API(사용자가 인지하는 UI에 영향을 주지 않고 컴포넌트를 렌더링할 수 있게 하여, 사전 렌더링이나 백그라운드 작업에 유용함)와 같은 기능들은 동시성 렌더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더욱 확장하고 있습니다.

웹이 점점 더 복잡해지고 성능과 반응성에 대한 사용자 기대치가 계속 높아짐에 따라, 동시성 렌더링은 단순한 최적화를 넘어 전 세계 사용자를 만족시키는 현대적이고 매력적인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필수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결론

React 동시성 모드와 그 핵심 개념인 중단 가능한 렌더링은 우리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방식에 있어 중대한 진화를 나타냅니다. React가 렌더링 작업을 일시 중지, 재개 및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우리는 성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무거운 부하가 걸리거나 제한된 환경에서도 놀라울 정도로 반응이 빠르고 복원력이 강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전 세계 사용자에게 이는 더 공평하고 즐거운 사용자 경험으로 이어집니다. 사용자가 유럽의 고속 광섬유 연결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든, 개발도상국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든, 동시성 모드는 애플리케이션이 빠르고 유연하게 느껴지도록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Suspense와 Transitions와 같은 기능을 수용하고 새로운 Root API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것은 React의 모든 잠재력을 발휘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러한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함으로써, 전 세계 사용자를 진정으로 기쁘게 하는 차세대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핵심 요약:

오늘 바로 프로젝트에서 동시성 모드를 탐색하기 시작하여 모두를 위한 더 빠르고, 더 반응이 빠르며, 더 즐거운 애플리케이션을 만드세요.

React 동시성 모드: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위한 중단 가능한 렌더링 마스터하기 | ML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