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견고하고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테스트 전략에서 모의 함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이 가이드는 실제 예제와 함께 모의 함수를 언제, 왜, 어떻게 구현하는지 다룹니다.

모의 함수(Mock Functions): 개발자를 위한 종합 가이드

소프트웨어 개발의 세계에서 견고하고 신뢰성 있는 코드를 작성하는 것은 가장 중요합니다. 철저한 테스트는 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특히 단위 테스트는 개별 구성 요소나 함수를 격리하여 테스트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그러나 실제 애플리케이션은 종종 복잡한 의존성을 포함하여 단위를 완전히 격리하여 테스트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모의 함수가 필요합니다.

모의 함수란 무엇인가?

모의 함수는 테스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실제 함수의 시뮬레이션 버전입니다. 실제 함수의 로직을 실행하는 대신, 모의 함수를 사용하면 그 동작을 제어하고, 어떻게 호출되는지 관찰하며, 반환 값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는 테스트 더블(test double)의 한 유형입니다.

다음과 같이 생각해보세요: 자동차의 엔진(테스트 대상 단위)을 테스트한다고 상상해보세요. 엔진은 연료 분사 시스템이나 냉각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다른 구성 요소에 의존합니다. 엔진 테스트 중에 실제 연료 분사 및 냉각 시스템을 실행하는 대신, 그 동작을 시뮬레이션하는 모의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엔진을 격리하고 성능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모의 함수는 다음과 같은 강력한 도구입니다:

모의 함수는 언제 사용해야 할까?

모의 함수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가장 유용합니다:

1. 외부 의존성이 있는 단위 격리

테스트 대상 단위가 외부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API 또는 기타 구성 요소에 의존하는 경우, 테스트 중에 실제 의존성을 사용하면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시: 원격 API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가져오는 함수를 테스트한다고 상상해보세요. 테스트 중에 실제 API를 호출하는 대신, 모의 함수를 사용하여 API 응답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외부 API의 가용성이나 성능에 의존하지 않고 함수의 로직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이는 API에 요청당 비용이 발생하거나 사용량 제한이 있을 때 특히 중요합니다.

2. 복잡한 상호작용 테스트

경우에 따라 테스트 대상 단위가 다른 구성 요소와 복잡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모의 함수를 사용하면 이러한 상호작용을 관찰하고 검증할 수 있습니다.

예시: 결제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함수를 생각해보세요. 이 함수는 결제 게이트웨이, 데이터베이스, 알림 서비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모의 함수를 사용하면 함수가 올바른 거래 세부 정보로 결제 게이트웨이를 호출하고, 거래 상태로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며, 사용자에게 알림을 보내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오류 조건 시뮬레이션

오류 처리를 테스트하는 것은 애플리케이션의 견고성을 보장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모의 함수를 사용하면 실제 환경에서 재현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오류 조건을 쉽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예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에 파일을 업로드하는 함수를 테스트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모의 함수를 사용하여 업로드 과정에서 네트워크 오류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함수가 오류를 올바르게 처리하고, 업로드를 재시도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리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비동기 코드 테스트

콜백, 프로미스, async/await를 사용하는 코드와 같은 비동기 코드는 테스트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모의 함수는 비동기 작업의 타이밍과 동작을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시: 비동기 요청을 사용하여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함수를 테스트한다고 상상해보세요. 모의 함수를 사용하여 서버 응답을 시뮬레이션하고 응답이 반환되는 시점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함수가 다양한 응답 시나리오와 타임아웃을 어떻게 처리하는지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5. 의도하지 않은 부작용 방지

때때로 테스트 중에 실제 함수를 호출하면 데이터베이스 수정, 이메일 발송 또는 외부 프로세스 트리거와 같은 의도하지 않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의 함수는 실제 함수를 제어된 시뮬레이션으로 대체하여 이러한 부작용을 방지합니다.

예시: 신규 사용자에게 환영 이메일을 보내는 함수를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모의 이메일 서비스를 사용하면 테스트 스위트 실행 중에 이메일 발송 기능이 실제 사용자에게 이메일을 보내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대신, 함수가 올바른 정보로 이메일을 보내려고 시도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의 함수 사용 방법

모의 함수를 사용하는 구체적인 단계는 사용 중인 프로그래밍 언어와 테스트 프레임워크에 따라 다릅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합니다:

  1. 의존성 식별: 모의 처리해야 할 외부 의존성을 결정합니다.
  2. 모의 객체 생성: 실제 의존성을 대체할 모의 객체나 함수를 생성합니다. 이러한 모의 객체는 종종 `called`, `returnValue`, `callArguments`와 같은 속성을 가집니다.
  3. 모의 동작 설정: 반환 값, 오류 조건, 호출 횟수 등 모의 함수의 동작을 정의합니다.
  4. 모의 객체 주입: 테스트 대상 단위에서 실제 의존성을 모의 객체로 대체합니다. 이는 종종 의존성 주입을 사용하여 수행됩니다.
  5. 테스트 실행: 테스트를 실행하고 테스트 대상 단위가 모의 함수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관찰합니다.
  6. 상호작용 검증: 모의 함수가 예상된 인수, 반환 값, 횟수로 호출되었는지 확인합니다.
  7. 원래 기능 복원: 테스트 후, 모의 객체를 제거하고 실제 의존성으로 되돌려 원래 기능을 복원합니다. 이는 다른 테스트에 대한 부작용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다양한 언어에서의 모의 함수 예제

다음은 인기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 및 테스트 프레임워크에서 모의 함수를 사용하는 예제입니다:

JavaScript와 Jest

Jest는 모의 함수를 내장 지원하는 인기 있는 자바스크립트 테스트 프레임워크입니다.

// 테스트할 함수
function fetchData(callback) {
  setTimeout(() => {
    callback('Data from server');
  }, 100);
}

// 테스트 케이스
test('fetchData calls callback with correct data', (done) => {
  const mockCallback = jest.fn();
  fetchData(mockCallback);

  setTimeout(() => {
    expect(mockCallback).toHaveBeenCalledWith('Data from server');
    done();
  }, 200);
});

이 예제에서 `jest.fn()`은 실제 콜백 함수를 대체하는 모의 함수를 생성합니다. 테스트는 `toHaveBeenCalledWith()`를 사용하여 모의 함수가 올바른 데이터로 호출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모듈을 사용한 고급 예제:

// user.js
import { getUserDataFromAPI } from './api';

export async function displayUserName(userId) {
  const userData = await getUserDataFromAPI(userId);
  return userData.name;
}

// api.js
export async function getUserDataFromAPI(userId) {
  // API 호출 시뮬레이션
  return new Promise(resolve => {
    setTimeout(() => {
      resolve({ id: userId, name: 'John Doe' });
    }, 50);
  });
}

// user.test.js
import { displayUserName } from './user';
import * as api from './api';

describe('displayUserName', () => {
  it('should display the user name', async () => {
    // getUserDataFromAPI 함수 모의 처리
    const mockGetUserData = jest.spyOn(api, 'getUserDataFromAPI');
    mockGetUserData.mockResolvedValue({ id: 123, name: 'Mocked Name' });

    const userName = await displayUserName(123);
    expect(userName).toBe('Mocked Name');

    // 원래 함수로 복원
    mockGetUserData.mockRestore();
  });
});

여기서 `jest.spyOn`은 `./api` 모듈에서 가져온 `getUserDataFromAPI` 함수에 대한 모의 함수를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mockResolvedValue`는 모의 함수의 반환 값을 지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mockRestore`는 다른 테스트가 실수로 모의 처리된 버전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Python과 pytest 및 unittest.mock

Python은 `unittest.mock`(내장)을 포함한 여러 모의 라이브러리와 pytest와 함께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pytest-mock`과 같은 라이브러리를 제공합니다.

# 테스트할 함수
def get_data_from_api(url):
    # 실제 시나리오에서는 API를 호출합니다
    # 간단하게 하기 위해 API 호출을 시뮬레이션합니다
    if url == "https://example.com/api":
        return {"data": "API data"}
    else:
        return None

def process_data(url):
    data = get_data_from_api(url)
    if data:
        return data["data"]
    else:
        return "No data found"

# unittest.mock을 사용한 테스트 케이스
import unittest
from unittest.mock import patch

class TestProcessData(unittest.TestCase):
    @patch('__main__.get_data_from_api') # 메인 모듈의 get_data_from_api를 대체
    def test_process_data_success(self, mock_get_data_from_api):
        # 모의 객체 설정
        mock_get_data_from_api.return_value = {"data": "Mocked data"}

        # 테스트 대상 함수 호출
        result = process_data("https://example.com/api")

        # 결과 단언(assert)
        self.assertEqual(result, "Mocked data")
        mock_get_data_from_api.assert_called_once_with("https://example.com/api")

    @patch('__main__.get_data_from_api')
    def test_process_data_failure(self, mock_get_data_from_api):
        mock_get_data_from_api.return_value = None
        result = process_data("https://example.com/api")
        self.assertEqual(result, "No data found")

if __name__ == '__main__':
    unittest.main()

이 예제에서는 `unittest.mock.patch`를 사용하여 `get_data_from_api` 함수를 모의 객체로 대체합니다. 테스트는 모의 객체가 특정 값을 반환하도록 설정한 다음 `process_data` 함수가 예상된 결과를 반환하는지 확인합니다.

`pytest-mock`을 사용한 동일한 예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pytest 버전
import pytest

def get_data_from_api(url):
    # 실제 시나리오에서는 API를 호출합니다
    # 간단하게 하기 위해 API 호출을 시뮬레이션합니다
    if url == "https://example.com/api":
        return {"data": "API data"}
    else:
        return None

def process_data(url):
    data = get_data_from_api(url)
    if data:
        return data["data"]
    else:
        return "No data found"


def test_process_data_success(mocker):
    mocker.patch('__main__.get_data_from_api', return_value={"data": "Mocked data"})
    result = process_data("https://example.com/api")
    assert result == "Mocked data"


def test_process_data_failure(mocker):
    mocker.patch('__main__.get_data_from_api', return_value=None)
    result = process_data("https://example.com/api")
    assert result == "No data found"

`pytest-mock` 라이브러리는 pytest 테스트 내에서 모의 객체의 생성 및 설정을 단순화하는 `mocker` 픽스처(fixture)를 제공합니다.

Java와 Mockito

Mockito는 Java를 위한 인기 있는 모의 프레임워크입니다.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static org.mockito.Mockito.*;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interface DataFetcher {
    String fetchData(String url);
}

class DataProcessor {
    private final DataFetcher dataFetcher;

    public DataProcessor(DataFetcher dataFetcher) {
        this.dataFetcher = dataFetcher;
    }

    public String processData(String url) {
        String data = dataFetcher.fetchData(url);
        if (data != null) {
            return "Processed: " + data;
        } else {
            return "No data";
        }
    }
}

public class DataProcessorTest {

    @Test
    public void testProcessDataSuccess() {
        // DataFetcher 모의 객체 생성
        DataFetcher mockDataFetcher = mock(DataFetcher.class);

        // 모의 객체 설정
        when(mockDataFetcher.fetchData("https://example.com/api")).thenReturn("API Data");

        // 모의 객체로 DataProcessor 생성
        DataProcessor dataProcessor = new DataProcessor(mockDataFetcher);

        // 테스트 대상 함수 호출
        String result = dataProcessor.processData("https://example.com/api");

        // 결과 단언
        assertEquals("Processed: API Data", result);

        // 모의 객체가 호출되었는지 확인
        verify(mockDataFetcher).fetchData("https://example.com/api");
    }

    @Test
    public void testProcessDataFailure() {
        DataFetcher mockDataFetcher = mock(DataFetcher.class);
        when(mockDataFetcher.fetchData("https://example.com/api")).thenReturn(null);

        DataProcessor dataProcessor = new DataProcessor(mockDataFetcher);
        String result = dataProcessor.processData("https://example.com/api");
        assertEquals("No data", result);
        verify(mockDataFetcher).fetchData("https://example.com/api");
    }
}

이 예제에서 `Mockito.mock()`은 `DataFetcher` 인터페이스에 대한 모의 객체를 생성합니다. `when()`은 모의 객체의 반환 값을 설정하는 데 사용되고, `verify()`는 모의 객체가 예상된 인수로 호출되었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모의 함수 사용을 위한 모범 사례

모의 함수의 대안

모의 함수는 강력한 도구이지만, 항상 최상의 해결책은 아닙니다. 경우에 따라 다른 기술이 더 적절할 수 있습니다:

결론

모의 함수는 효과적인 단위 테스트 작성을 위한 필수 도구로, 단위를 격리하고, 동작을 제어하며, 오류 조건을 시뮬레이션하고, 비동기 코드를 테스트할 수 있게 해줍니다. 모범 사례를 따르고 대안을 이해함으로써, 모의 함수를 활용하여 더 견고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하기 좋은 소프트웨어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장단점을 고려하고 각 상황에 맞는 올바른 테스트 기법을 선택하여, 세계 어느 곳에서 개발하든 포괄적이고 효과적인 테스트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