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마이크로 프론트엔드 아키텍처에서 모듈 페더레이션의 강력함을 탐색해 보세요. 현대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확장 가능하고, 유지보수 용이하며, 독립적인 프론트엔드를 구축하는 방법을 배워보세요.

마이크로 프론트엔드: 모듈 페더레이션 완벽 가이드

끊임없이 진화하는 웹 개발 환경에서 크고 복잡한 프론트엔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유지하는 것은 상당한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전체 애플리케이션이 단일하고 긴밀하게 결합된 코드베이스인 모놀리식 프론트엔드는 종종 개발 주기를 늦추고, 배포 위험을 증가시키며, 개별 기능의 확장을 어렵게 만듭니다.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는 프론트엔드를 더 작고 독립적이며 관리 가능한 단위로 분해하여 해결책을 제공합니다. 이 아키텍처 접근 방식은 팀이 자율적으로 작업하고, 독립적으로 배포하며, 특정 요구에 가장 적합한 기술을 선택할 수 있게 해줍니다.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를 구현하기 위한 가장 유망한 기술 중 하나는 모듈 페더레이션(Module Federation)입니다.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란 무엇인가?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는 프론트엔드 애플리케이션이 여러 개의 더 작고 독립적인 프론트엔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는 아키텍처 스타일입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팀에 의해,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빌드 시 조정 없이 개발, 배포 및 유지 관리될 수 있습니다. 각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는 전체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 또는 도메인을 담당합니다.

마이크로 프론트엔드의 핵심 원칙:

모듈 페더레이션 소개

모듈 페더레이션은 웹팩 5에서 도입된 자바스크립트 아키텍처로, 자바스크립트 애플리케이션이 런타임에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코드를 동적으로 로드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는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기술로 빌드되거나 다른 서버에 배포되었더라도 서로의 모듈을 공유하고 소비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모듈 페더레이션은 서로 다른 프론트엔드 애플리케이션이 서로의 모듈을 노출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를 구현하는 강력한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여러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를 단일하고 응집력 있는 사용자 경험으로 원활하게 통합할 수 있습니다.

모듈 페더레이션의 주요 이점:

모듈 페더레이션의 작동 방식

모듈 페더레이션은 호스트(host)원격(remote)이라는 두 가지 유형의 애플리케이션을 정의하여 작동합니다.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모듈을 소비하는 주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원격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소비할 수 있도록 모듈을 노출하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이 원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노출된 모듈에 대한 import 문을 만나면, 웹팩은 동적으로 원격 애플리케이션을 로드하고 런타임에 import를 해결합니다. 이를 통해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은 원격 애플리케이션의 모듈을 마치 자신의 코드베이스의 일부인 것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듈 페더레이션의 핵심 개념:

모듈 페더레이션을 사용한 마이크로 프론트엔드 구현: 실용적인 예제

제품 카탈로그, 쇼핑 카트, 사용자 프로필이라는 세 개의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를 가진 간단한 전자상거래 애플리케이션을 생각해 봅시다.

각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는 별도의 팀에 의해 개발되고 독립적으로 배포됩니다. 제품 카탈로그는 React로, 쇼핑 카트는 Vue.js로, 사용자 프로필은 Angular로 구축됩니다. 주 애플리케이션은 호스트 역할을 하며 이 세 개의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를 단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통합합니다.

1단계: 원격 애플리케이션 구성하기

먼저, 각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를 원격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노출될 모듈과 사용될 공유 모듈을 정의하는 작업이 포함됩니다.

제품 카탈로그 (React)

webpack.config.js:

const { ModuleFederationPlugin } = require('webpack').container;

module.exports = {
  // ...
  plugins: [
    new ModuleFederationPlugin({
      name: 'productCatalog',
      filename: 'remoteEntry.js',
      exposes: {
        './ProductList': './src/components/ProductList',
      },
      shared: ['react', 'react-dom'],
    }),
  ],
};

이 구성에서 우리는 ./src/components/ProductList 파일의 ProductList 컴포넌트를 노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reactreact-dom 모듈을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공유하고 있습니다.

쇼핑 카트 (Vue.js)

webpack.config.js:

const { ModuleFederationPlugin } = require('webpack').container;

module.exports = {
  // ...
  plugins: [
    new ModuleFederationPlugin({
      name: 'shoppingCart',
      filename: 'remoteEntry.js',
      exposes: {
        './ShoppingCart': './src/components/ShoppingCart',
      },
      shared: ['vue'],
    }),
  ],
};

여기서는 ShoppingCart 컴포넌트를 노출하고 vue 모듈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프로필 (Angular)

webpack.config.js:

const { ModuleFederationPlugin } = require('webpack').container;

module.exports = {
  // ...
  plugins: [
    new ModuleFederationPlugin({
      name: 'userProfile',
      filename: 'remoteEntry.js',
      exposes: {
        './UserProfile': './src/components/UserProfile',
      },
      shared: ['@angular/core', '@angular/common', '@angular/router'],
    }),
  ],
};

우리는 UserProfile 컴포넌트를 노출하고 필요한 Angular 모듈들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2단계: 호스트 애플리케이션 구성하기

다음으로, 원격 애플리케이션에서 노출된 모듈을 소비하도록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원격 애플리케이션을 정의하고 각각의 URL에 매핑하는 작업이 포함됩니다.

webpack.config.js:

const { ModuleFederationPlugin } = require('webpack').container;

module.exports = {
  // ...
  plugins: [
    new ModuleFederationPlugin({
      name: 'mainApp',
      remotes: {
        productCatalog: 'productCatalog@http://localhost:3001/remoteEntry.js',
        shoppingCart: 'shoppingCart@http://localhost:3002/remoteEntry.js',
        userProfile: 'userProfile@http://localhost:3003/remoteEntry.js',
      },
      shared: ['react', 'react-dom', 'vue', '@angular/core', '@angular/common', '@angular/router'],
    }),
  ],
};

이 구성에서 우리는 productCatalog, shoppingCart, userProfile이라는 세 개의 원격 애플리케이션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각 원격은 해당 remoteEntry.js 파일의 URL에 매핑됩니다. 또한 모든 마이크로 프론트엔드에 걸쳐 공통 의존성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3단계: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에서 모듈 사용하기

마지막으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에서 원격 애플리케이션이 노출한 모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동적 import를 사용하여 모듈을 가져오고 적절한 위치에 렌더링하는 작업이 포함됩니다.

import React, { Suspense } from 'react';
const ProductList = React.lazy(() => import('productCatalog/ProductList'));
const ShoppingCart = React.lazy(() => import('shoppingCart/ShoppingCart'));
const UserProfile = React.lazy(() => import('userProfile/UserProfile'));

function App() {
  return (
    <div>
      <h1>전자상거래 애플리케이션</h1>
      <Suspense fallback={<div>제품 카탈로그 로딩 중...</div>}>
        <ProductList />
      </Suspense>
      <Suspense fallback={<div>쇼핑 카트 로딩 중...</div>}>
        <ShoppingCart />
      </Suspense>
      <Suspense fallback={<div>사용자 프로필 로딩 중...</div>}>
        <UserProfile />
      </Suspense>
    </div>
  );
}

export default App;

우리는 React.lazySuspense를 사용하여 원격 애플리케이션의 모듈을 동적으로 로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모듈이 필요할 때만 로드되어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고급 고려 사항 및 모범 사례

모듈 페더레이션이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를 구현하는 강력한 메커니즘을 제공하지만, 몇 가지 고급 고려 사항과 모범 사례를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버전 관리 및 호환성

마이크로 프론트엔드 간에 모듈을 공유할 때 버전을 관리하고 호환성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로 다른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는 다른 의존성을 가질 수 있거나 공유 모듈의 다른 버전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시맨틱 버저닝을 사용하고 공유 의존성을 신중하게 관리하면 충돌을 피하고 마이크로 프론트엔드가 원활하게 함께 작동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공유 의존성 관리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module-federation/automatic-vendor-federation`과 같은 도구를 고려해 보세요.

상태 관리

마이크로 프론트엔드 간에 상태를 공유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서로 다른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는 다른 상태 관리 솔루션을 가질 수 있거나 공유 상태에 대한 다른 접근 권한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 프론트엔드 아키텍처에서 상태를 관리하는 몇 가지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상의 접근 방식은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요구와 마이크로 프론트엔드 간의 결합 수준에 따라 다릅니다.

마이크로 프론트엔드 간 통신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는 종종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작업을 트리거하기 위해 서로 통신해야 합니다. 이를 달성하는 몇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올바른 통신 메커니즘을 선택하는 것은 상호 작용의 복잡성과 마이크로 프론트엔드 간의 원하는 분리 수준에 따라 다릅니다.

보안 고려 사항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를 구현할 때는 보안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는 인증, 권한 부여 및 데이터 유효성 검사를 포함하여 자체 보안을 책임져야 합니다. 마이크로 프론트엔드 간의 코드 및 데이터 공유는 안전하게 그리고 적절한 접근 제어를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교차 사이트 스크립팅(XSS) 취약점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입력 유효성 검사 및 살균을 보장하십시오. 보안 취약점을 패치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의존성을 업데이트하십시오.

테스트 및 모니터링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를 테스트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은 모놀리식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고 모니터링하는 것보다 더 복잡할 수 있습니다. 각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는 독립적으로 테스트되어야 하며, 마이크로 프론트엔드가 올바르게 함께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통합 테스트를 수행해야 합니다. 각 마이크로 프론트엔드의 성능과 상태를 추적하기 위해 모니터링을 구현해야 합니다.

원활한 사용자 경험을 보장하기 위해 여러 마이크로 프론트엔드에 걸친 엔드-투-엔드 테스트를 구현하십시오. 애플리케이션 성능 지표를 모니터링하여 병목 현상과 개선 영역을 식별하십시오.

모듈 페더레이션 vs. 다른 마이크로 프론트엔드 접근 방식

모듈 페더레이션은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를 구축하는 강력한 도구이지만, 유일한 접근 방식은 아닙니다. 다른 일반적인 마이크로 프론트엔드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각 접근 방식에는 장단점이 있으며, 최상의 접근 방식은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요구에 따라 다릅니다.

모듈 페더레이션 vs. iframe

iframe은 강력한 격리를 제공하지만 관리하기 번거로울 수 있으며 각 iframe의 오버헤드로 인해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iframe 간의 통신도 복잡할 수 있습니다.

모듈 페더레이션은 더 나은 성능과 마이크로 프론트엔드 간의 더 쉬운 통신으로 더 원활한 통합 경험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공유 의존성 및 버전의 신중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모듈 페더레이션 vs. Single-SPA

Single-SPA는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를 관리하고 오케스트레이션하기 위한 통합된 접근 방식을 제공하는 메타 프레임워크입니다. 공유 컨텍스트, 라우팅 및 상태 관리와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모듈 페더레이션은 Single-SPA와 함께 사용하여 복잡한 마이크로 프론트엔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아키텍처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모듈 페더레이션의 사용 사례

모듈 페더레이션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사용 사례에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Amazon과 같은 글로벌 전자상거래 회사를 생각해 봅시다. 그들은 모듈 페더레이션을 사용하여 웹사이트를 제품 페이지, 쇼핑 카트, 결제 프로세스, 사용자 계정 관리 섹션과 같은 더 작고 독립적인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로 분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각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는 별도의 팀에 의해 개발되고 배포될 수 있어 개발 주기를 단축하고 민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들은 각 마이크로 프론트엔드에 다른 기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품 페이지에는 React, 쇼핑 카트에는 Vue.js, 결제 프로세스에는 Angular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각 기술의 강점을 활용하고 작업에 가장 적합한 도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예는 다국적 은행입니다. 그들은 모듈 페더레이션을 사용하여 각 지역의 특정 요구에 맞는 뱅킹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각 지역에 대해 해당 지역의 은행 규정 및 고객 선호도에 특화된 기능을 갖춘 다른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객에게 더 개인화되고 관련성 있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결론

모듈 페더레이션은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를 구축하는 강력하고 유연한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팀은 독립적으로 작업하고, 독립적으로 배포하며, 자신의 요구에 가장 적합한 기술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코드와 의존성을 공유함으로써 모듈 페더레이션은 빌드 시간을 단축하고, 성능을 향상시키며, 개발 프로세스를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모듈 페더레이션에는 버전 관리 및 상태 관리와 같은 과제가 있지만, 신중한 계획과 적절한 도구 및 기술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에서 논의된 모범 사례를 따르고 고급 고려 사항을 고려함으로써, 모듈 페더레이션으로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를 성공적으로 구현하고 확장 가능하고 유지보수 용이하며 독립적인 프론트엔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웹 개발 환경이 계속 진화함에 따라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는 점점 더 중요한 아키텍처 패턴이 되고 있습니다. 모듈 페더레이션은 마이크로 프론트엔드를 구축하기 위한 견고한 기반을 제공하며, 현대적이고 확장 가능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려는 모든 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 귀중한 도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