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형 인프라(IaC)를 위한 필수 Terraform 모범 사례로 Terraform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세요. 글로벌 인프라 배포를 효율적으로 관리, 자동화 및 확장하는 방법을 배우세요.
코드형 인프라: 글로벌 팀을 위한 Terraform 모범 사례
오늘날의 클라우드 중심 세계에서 코드형 인프라(Infrastructure as Code, IaC)는 인프라 배포를 관리하고 자동화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관행이 되었습니다. HashiCorp의 인기 있는 IaC 도구인 Terraform을 사용하면 팀은 선언적 구성 언어를 사용하여 인프라를 정의하고 프로비저닝할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 게시물에서는 글로벌 팀이 인프라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협업을 강화하며, 다양한 환경에서 일관성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되는 필수적인 Terraform 모범 사례를 설명합니다.
Terraform과 코드형 인프라를 사용하는 이유
모범 사례를 살펴보기 전에 Terraform과 IaC 사용의 이점을 이해해 보겠습니다.
- 자동화: 인프라 프로비저닝을 자동화하여 수동 작업을 줄이고 잠재적인 오류를 최소화합니다.
- 버전 관리: 인프라 구성을 코드로 취급하여 버전 관리, 협업 및 감사 추적을 가능하게 합니다.
- 일관성: 개발, 스테이징, 프로덕션 등 다양한 환경에서 일관된 인프라 배포를 보장합니다.
- 반복성: 인프라 설정을 쉽게 재현하여 재해 복구 및 확장을 단순화합니다.
- 협업: 코드 리뷰와 공유 구성을 통해 팀원 간의 협업을 촉진합니다.
- 비용 절감: 리소스 활용을 최적화하고 운영 오버헤드를 줄입니다.
Terraform의 선언적 접근 방식, 프로바이더 생태계 및 강력한 커뮤니티 지원은 다양한 클라우드 제공업체와 온프레미스 환경 전반에서 인프라를 관리하기 위한 강력한 선택이 되게 합니다. 예를 들어, 글로벌 전자 상거래 회사는 Terraform을 사용하여 북미, 유럽 및 아시아 태평양의 AWS 리전 전반에 걸쳐 인프라를 관리하고, 전 세계적으로 일관된 배포와 효율적인 리소스 활용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Terraform 모범 사례
1. 인프라 모듈화
Terraform 모듈은 재사용 가능하고 독립적인 인프라 코드 패키지입니다. 인프라를 모듈화하면 코드 재사용성을 높이고 유지 관리를 단순화하며 협업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잘 설계된 모듈은 특정 인프라 구성 요소를 캡슐화하여 이해, 테스트 및 배포를 더 쉽게 만듭니다.
모듈화의 이점:
- 재사용성: 여러 프로젝트나 환경에서 동일한 모듈을 사용합니다.
- 유지보수성: 인프라의 다른 부분에 영향을 주지 않고 특정 구성 요소를 더 쉽게 업데이트하고 유지 관리할 수 있습니다.
- 테스트 용이성: 모듈을 개별적으로 테스트하여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협업: 팀이 서로 다른 모듈에서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시:
AWS에서 가상 사설 클라우드(VPC)를 생성하기 위한 모듈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이 모듈은 VPC, 서브넷, 라우팅 테이블 및 보안 그룹 생성을 캡슐화합니다. 다른 팀은 이 모듈을 재사용하여 다른 AWS 계정이나 리전에서 VPC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vpc_module/main.tf
resource "aws_vpc" "main" {
cidr_block = var.cidr_block
enable_dns_hostnames = true
enable_dns_support = true
tags = {
Name = var.vpc_name
}
}
resource "aws_subnet" "private" {
count = length(var.private_subnet_cidrs)
vpc_id = aws_vpc.main.id
cidr_block = var.private_subnet_cidrs[count.index]
availability_zone = data.aws_availability_zones.available.names[count.index]
tags = {
Name = format("%s-private-%02d", var.vpc_name, count.index + 1)
}
}
output "vpc_id" {
value = aws_vpc.main.id
}
# main.tf (VPC 모듈 사용)
module "vpc" {
source = "./vpc_module"
vpc_name = "my-global-vpc"
cidr_block = "10.0.0.0/16"
private_subnet_cidrs = ["10.0.1.0/24", "10.0.2.0/24"]
}
output "vpc_id" {
value = module.vpc.vpc_id
}
2. Terraform 상태(State)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Terraform 상태(state)는 실제 리소스를 구성에 매핑하는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인프라의 무결성과 일관성을 보장하려면 Terraform 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원격 상태 저장소를 사용하는 것은 특히 협업하는 팀에게 모범 사례입니다.
원격 상태 저장소의 이점:
- 협업: 여러 팀원이 동일한 인프라에서 동시에 작업할 수 있습니다.
- 보안: 상태를 원격 백엔드(예: AWS S3, Azure Blob Storage, Google Cloud Storage)에 안전하게 저장합니다.
- 버전 관리: 상태 변경에 대한 버전 관리 및 감사 추적 기능을 제공합니다.
- 잠금(Locking): 상태에 대한 동시 수정을 방지하여 충돌을 피합니다.
예시:
AWS S3 및 DynamoDB를 사용하여 원격 상태 저장 및 잠금 설정:
terraform {
backend "s3" {
bucket = "my-terraform-state-bucket"
key = "global/terraform.tfstate"
region = "us-east-1"
dynamodb_table = "terraform-locks"
encrypt = true
}
}
중요 고려 사항:
- 암호화: 민감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Terraform 상태를 암호화하십시오.
- 접근 제어: 상태에 접근하고 수정할 수 있는 사람을 제한하기 위해 엄격한 접근 제어 정책을 구현하십시오.
- 백업: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Terraform 상태를 백업하십시오.
3. 변수 및 입력 유효성 검사 사용하기
변수를 사용하면 Terraform 구성을 매개변수화하여 더 유연하고 재사용 가능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 크기, 리전 이름, 리소스 태그와 같은 구성 가능한 값을 정의하는 데 변수를 사용하십시오. 변수가 올바른 유형을 가지고 특정 제약 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입력 유효성 검사를 구현하십시오.
변수 및 입력 유효성 검사의 이점:
- 유연성: 기본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도 구성을 쉽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재사용성: 입력 변수를 변경하여 다른 환경에서 동일한 구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유효성 검사: 구성을 적용하기 전에 입력 값을 검증하여 오류를 방지합니다.
예시:
# variables.tf
variable "instance_type" {
type = string
description = "The type of EC2 instance to launch."
default = "t2.micro"
validation {
condition = contains(["t2.micro", "t3.small", "m5.large"], var.instance_type)
error_message = "Invalid instance type. Choose from t2.micro, t3.small, or m5.large."
}
}
variable "region" {
type = string
description = "The AWS region to deploy resources to."
default = "us-east-1"
}
# main.tf
resource "aws_instance" "example" {
ami = data.aws_ami.amazon_linux.id
instance_type = var.instance_type
tags = {
Name = "Example Instance"
}
}
4. 버전 관리 및 CI/CD 구현하기
Terraform 구성을 버전 관리 시스템(예: Git)에 저장하여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팀원과 협업하며, 필요한 경우 이전 버전으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Terraform을 지속적인 통합/지속적인 배포(CI/CD) 파이프라인과 통합하여 인프라의 테스트 및 배포를 자동화하십시오.
버전 관리 및 CI/CD의 이점:
- 협업: 브랜칭, 병합 및 코드 리뷰를 통해 협업을 촉진합니다.
- 감사 추적: 변경 내역과 변경한 사람에 대한 기록을 제공합니다.
- 자동화: 테스트 및 배포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수동 개입을 줄입니다.
- 신뢰성: 일관되고 신뢰할 수 있는 인프라 배포를 보장합니다.
CI/CD 워크플로우 예시:
- 개발자는 Git 저장소의 Terraform 구성에 변경 사항을 커밋합니다.
- CI/CD 도구(예: Jenkins, GitLab CI, GitHub Actions)가 파이프라인을 트리거합니다.
- 파이프라인은 `terraform validate`를 실행하여 구성의 구문을 확인합니다.
- 파이프라인은 `terraform plan`을 실행하여 적용될 변경 사항을 미리 봅니다.
- 파이프라인은 배포를 진행하기 위해 팀원의 승인을 요구합니다.
- 승인 시 파이프라인은 `terraform apply`를 실행하여 인프라에 변경 사항을 배포합니다.
# .gitlab-ci.yml
stages:
- validate
- plan
- apply
validate:
stage: validate
image: hashicorp/terraform:latest
script:
- terraform init
- terraform validate
plan:
stage: plan
image: hashicorp/terraform:latest
script:
- terraform init
- terraform plan -out=tfplan
artifacts:
paths:
- tfplan
apply:
stage: apply
image: hashicorp/terraform:latest
script:
- terraform init
- terraform apply tfplan
only:
- master
when: manual
5. 일관된 명명 규칙 따르기
인프라 리소스에 대한 일관된 명명 규칙을 수립하여 가독성, 유지보수성 및 검색성을 향상시키십시오. 리소스의 목적과 환경을 명확하게 나타내는 의미 있고 설명적인 이름을 사용하십시오. 예를 들어, 단순히 "ec2_instance" 대신 "web-server-prod-ec2"를 사용하십시오.
일관된 명명 규칙의 이점:
- 가독성: 리소스의 목적을 한눈에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유지보수성: 명확한 컨텍스트를 제공하여 유지 관리 및 문제 해결을 단순화합니다.
- 검색성: 일관된 명명 패턴을 사용하여 리소스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예시:
명명 규칙에는 리소스 유형, 환경 및 고유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 vpc-prod-001 (프로덕션 VPC)
- db-staging-002 (스테이징 데이터베이스)
- lb-public-prod (프로덕션의 공용 로드 밸런서)
변수를 사용하여 명명 규칙에 따라 리소스 이름을 동적으로 생성하십시오:
variable "environment" {
type = string
description = "The environment (e.g., prod, staging, dev)."
}
resource "aws_instance" "example" {
ami = data.aws_ami.amazon_linux.id
instance_type = "t2.micro"
tags = {
Name = format("web-server-%s", var.environment)
}
}
6. 민감한 데이터 보호하기
민감한 데이터(예: 비밀번호, API 키, 인증서)를 Terraform 구성에 직접 하드코딩하지 마십시오. 대신 안전한 방법을 사용하여 민감한 데이터를 관리하고 인프라에 주입하십시오.
민감한 데이터 보호 방법:
- Terraform Cloud/Enterprise: Terraform Cloud 또는 Enterprise를 사용하여 시크릿을 저장하고 관리합니다.
- HashiCorp의 Vault: Vault를 사용하여 시크릿을 안전하게 저장 및 관리하고 Terraform과 통합합니다.
- 클라우드 제공업체 시크릿 관리: 클라우드 제공업체에서 제공하는 시크릿 관리 서비스(예: AWS Secrets Manager, Azure Key Vault, Google Cloud Secret Manager)를 사용합니다.
- 환경 변수: 환경 변수를 사용하여 민감한 데이터를 Terraform 구성에 전달합니다(주의해서 사용하고 적절한 보안 조치를 보장해야 함).
AWS Secrets Manager 사용 예시:
# data.tf
data "aws_secretsmanager_secret" "db_password" {
name = "db_password"
}
data "aws_secretsmanager_secret_version" "db_password" {
secret_id = data.aws_secretsmanager_secret.db_password.id
}
output "database_password" {
value = data.aws_secretsmanager_secret_version.db_password.secret_string
sensitive = true
}
중요 보안 고려 사항:
- 암호화: 민감한 데이터가 전송 중 및 저장 시 모두 암호화되도록 하십시오.
- 접근 제어: 민감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을 제한하기 위해 엄격한 접근 제어 정책을 구현하십시오.
- 순환(Rotation): 잠재적인 침해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시크릿을 순환시키십시오.
7. 인프라 코드 테스트하기
Terraform 구성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테스트 전략을 구현하십시오. 테스트는 개발 프로세스 초기에 오류를 발견하고, 인프라 장애의 위험을 줄이며, 코드의 전반적인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테스트 전략:
- 단위 테스트: 개별 모듈이나 구성 요소를 독립적으로 테스트합니다.
- 통합 테스트: 다른 모듈이나 구성 요소 간의 상호 작용을 테스트합니다.
- 종단 간 테스트(End-to-End Testing): 전체 인프라 배포를 처음부터 끝까지 테스트합니다.
- 정적 분석: 도구를 사용하여 코드의 잠재적인 문제를 분석하고 코딩 표준을 강제합니다.
Terraform 테스트 도구:
- Terratest: Terraform 코드를 테스트하기 위한 Go 라이브러리입니다.
- Kitchen-Terraform: Test Kitchen을 사용하여 Terraform 구성을 테스트하는 도구입니다.
- tfsec: Terraform 코드의 보안 취약점을 탐지하기 위한 정적 분석 도구입니다.
Terratest 사용 예시:
// test/vpc_test.go
package test
import (
"testing"
"github.com/gruntwork-io/terratest/modules/terraform"
"github.com/stretchr/testify/assert"
)
func TestVPC(t *testing.T) {
t.Parallel()
terraformOptions := &terraform.Options{
TerraformDir: "../vpc_module",
Variables: map[string]interface{}{
"vpc_name": "test-vpc",
"cidr_block": "10.0.0.0/16",
"private_subnet_cidrs": []string{"10.0.1.0/24", "10.0.2.0/24"},
},
}
defer terraform.Destroy(t, terraformOptions)
terraform.InitAndApply(t, terraformOptions)
vpcID := terraform.Output(t, terraformOptions, "vpc_id")
assert.NotEmpty(t, vpcID)
}
8. DRY (반복하지 말 것) 원칙 따르기
DRY (Don't Repeat Yourself) 원칙은 코드 중복을 피할 것을 권장합니다. Terraform에서는 모듈, 변수 및 데이터 소스를 사용하여 공통 구성을 추상화하고 여러 곳에서 동일한 코드를 반복하는 것을 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DRY 원칙을 준수하면 유지보수성이 향상되고 오류 위험이 줄어들며 코드가 더 간결하고 읽기 쉬워집니다.
예시:
여러 리소스 블록에서 동일한 보안 그룹 규칙을 정의하는 대신, 보안 그룹과 그 규칙을 캡슐화하는 모듈을 만드십시오. 그런 다음 다른 곳에서 해당 모듈을 재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규칙을 사용자 지정하기 위해 변수를 전달하십시오.
9. Terraform 및 프로바이더 버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기
새로운 기능, 버그 수정 및 보안 패치를 활용하기 위해 Terraform 및 프로바이더 버전을 최신 상태로 유지하십시오. Terraform 및 프로바이더의 릴리스 노트를 정기적으로 검토하여 변경 사항과 인프라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이해하십시오. Terraform의 버전 제약 조건을 사용하여 구성에서 허용되는 Terraform 및 프로바이더 버전을 지정하십시오.
예시:
terraform {
required_version = ">= 1.0.0"
required_providers {
aws = {
source = "hashicorp/aws"
version = "~> 3.0"
}
}
}
10. 인프라 문서화하기
다양한 구성 요소의 목적, 기능 및 사용법을 설명하기 위해 인프라 코드를 문서화하십시오. 좋은 문서는 팀원들이 특히 복잡한 환경에서 인프라를 이해하고 유지 관리하는 것을 더 쉽게 만듭니다. 코드에 주석을 사용하여 복잡한 논리와 결정을 설명하십시오. 각 모듈에 대한 README 파일을 만들어 기능과 사용법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십시오.
좋은 문서의 요소:
- 모듈 개요: 모듈의 목적과 기능에 대한 간략한 설명.
- 입력 변수: 각 입력 변수, 유형 및 기본값에 대한 설명.
- 출력 값: 각 출력 값과 그 목적에 대한 설명.
- 사용 예시: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모듈을 사용하는 방법의 예.
- 의존성: 모듈이 가진 모든 의존성 목록.
결론
이러한 Terraform 모범 사례를 구현하면 인프라 배포의 효율성, 신뢰성 및 보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코드를 모듈화하고, 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변수 및 입력 유효성 검사를 사용하고, 버전 관리 및 CI/CD를 구현하고, 일관된 명명 규칙을 따르고, 민감한 데이터를 보호하고, 코드를 테스트하고, DRY 원칙을 준수하고, 버전을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 인프라를 문서화함으로써 글로벌 팀의 요구를 충족하는 견고하고 확장 가능한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IaC는 지속적인 프로세스이므로 경험과 진화하는 요구 사항에 따라 관행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십시오. Terraform의 강력한 기능을 활용하여 인프라 관리를 자동화하고 간소화함으로써 팀이 비즈니스에 가치를 제공하는 데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