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전 세계적으로 API를 설계, 문서화, 사용하기 위한 OpenAPI 사양(OAS)에 대한 종합 가이드입니다. 모범 사례와 실용적인 예제를 알아보세요.

API 문서화: OpenAPI 사양 완벽 가이드

오늘날과 같이 모든 것이 연결된 세상에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의 근간입니다. API는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과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부터 복잡한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구동합니다. 효과적인 API 문서는 개발자가 API를 효율적으로 이해하고, 통합하고, 활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OpenAPI 사양(OAS)이 등장합니다. 이 가이드는 OAS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 그 이점, 그리고 API 설계 및 문서화를 위해 OAS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OpenAPI 사양(OAS)이란 무엇인가?

OpenAPI 사양(이전에는 스웨거 사양(Swagger Specification)으로 알려짐)은 REST API를 위한 표준적이고 언어에 구애받지 않는 인터페이스 명세입니다. 이를 통해 사람과 컴퓨터 모두 소스 코드나 문서에 접근하거나 네트워크 트래픽을 검사하지 않고도 서비스의 기능을 발견하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OpenAPI를 통해 제대로 정의되면, 소비자는 최소한의 구현 로직만으로 원격 서비스를 이해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OAS는 API의 엔드포인트, 요청 매개변수, 응답 형식, 인증 방법 및 기타 필수 세부 정보를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형식(일반적으로 YAML 또는 JSON)으로 설명하는 구조화된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 표준화된 형식은 다음과 같은 자동화된 도구 활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OpenAPI 사양 사용의 이점

OpenAPI 사양을 채택하면 API 제공업체와 소비자 모두에게 수많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향상된 개발자 경험

명확하고 포괄적인 API 문서는 개발자가 API를 더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더 빠른 통합 시간, 지원 요청 감소, 채택률 증가로 이어집니다. 예를 들어, 도쿄의 개발자가 런던에 기반을 둔 결제 게이트웨이와 통합하려는 경우, 광범위한 소통 없이도 OpenAPI 정의를 참조하여 필요한 매개변수와 인증 방법을 신속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향상된 API 검색 가능성

OAS를 사용하면 API 정의를 검색 가능한 형식으로 게시할 수 있으므로 잠재적 사용자가 API의 기능을 더 쉽게 찾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는 조직 내에서 수많은 API를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특히 중요합니다. OpenAPI 정의로 구동되는 중앙 집중식 API 카탈로그가 필수가 됩니다.

간소화된 API 거버넌스 및 표준화

API 설명에 대한 표준 형식을 채택함으로써 API 생태계 전반에 걸쳐 일관성과 품질을 강제할 수 있습니다. 이는 API 거버넌스를 단순화하고 API 설계 및 개발을 위한 모범 사례를 수립할 수 있게 합니다. 방대한 API 환경을 가진 구글이나 아마존과 같은 회사는 내부 표준화를 위해 API 사양에 크게 의존합니다.

자동화된 API 생명주기 관리

OAS는 설계 및 개발에서 테스트 및 배포에 이르기까지 API 생명주기 전반에 걸쳐 자동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수동 작업을 줄이고 효율성을 개선하며 API를 더 빠르게 반복할 수 있게 합니다. API 정의 변경이 자동으로 문서 업데이트 및 테스트를 트리거하는 지속적 통합/지속적 배포(CI/CD) 파이프라인을 생각해보십시오.

개발 비용 절감

문서 생성 및 코드 생성과 같은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OAS는 개발 비용과 시장 출시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정확한 OpenAPI 정의를 만드는 데 드는 초기 투자는 오류 감소와 개발 주기 단축을 통해 장기적으로 보상받게 됩니다.

OpenAPI 정의의 주요 구성 요소

OpenAPI 정의는 API의 다양한 측면을 설명하는 구조화된 문서입니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경로(Paths)와 작업(Operations) 심층 분석

경로(Paths) 섹션은 OpenAPI 정의의 핵심입니다. API의 각 엔드포인트와 해당 엔드포인트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정의합니다. 각 경로에 대해 HTTP 메서드(예: GET, POST, PUT, DELETE)와 요청 및 응답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지정합니다.

사용자 프로필을 검색하기 위한 API 엔드포인트의 간단한 예를 살펴보겠습니다:


/users/{userId}:
  get:
    summary: ID로 사용자 프로필 가져오기
    parameters:
      - name: userId
        in: path
        required: true
        description: 조회할 사용자의 ID
        schema:
          type: integer
    responses:
      '200':
        description: 성공적인 작업
        content:
          application/json:
            schema:
              type: object
              properties:
                id:
                  type: integer
                  description: 사용자 ID
                name:
                  type: string
                  description: 사용자 이름
                email:
                  type: string
                  description: 사용자 이메일
      '404':
        description: 사용자를 찾을 수 없음

이 예에서:

재사용성을 위한 컴포넌트(Components) 활용

컴포넌트(Components) 섹션은 API 정의에서 재사용성과 일관성을 증진하는 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스키마, 매개변수, 응답과 같은 재사용 가능한 객체를 정의하고 API 정의 전체에서 참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프로필에 대한 재사용 가능한 스키마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components:
  schemas:
    UserProfile:
      type: object
      properties:
        id:
          type: integer
          description: 사용자 ID
        name:
          type: string
          description: 사용자 이름
        email:
          type: string
          description: 사용자 이메일

그런 다음 여러 API 엔드포인트의 응답에서 이 스키마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users/{userId}:
  get:
    summary: ID로 사용자 프로필 가져오기
    parameters:
      - name: userId
        in: path
        required: true
        description: 조회할 사용자의 ID
        schema:
          type: integer
    responses:
      '200':
        description: 성공적인 작업
        content:
          application/json:
            schema:
              $ref: '#/components/schemas/UserProfile'

컴포넌트를 사용하면 정의를 복제하는 것을 피하고 API 정의를 일관성 있고 유지보수하기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OpenAPI 사양 작업을 위한 도구

OpenAPI 정의를 생성, 검증 및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여러 도구가 있습니다:

효과적인 OpenAPI 정의 작성을 위한 모범 사례

OpenAPI 사양의 이점을 극대화하려면 다음 모범 사례를 따르십시오:

명확하고 간결한 설명 사용

모든 API 엔드포인트, 매개변수 및 응답에 대해 명확하고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십시오. 이는 개발자가 API의 목적과 기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id" 대신 "사용자 ID" 또는 "제품 ID"를 사용하여 더 많은 컨텍스트를 제공하십시오.

일관된 명명 규칙 준수

API 엔드포인트, 매개변수 및 데이터 모델에 대한 일관된 명명 규칙을 수립하십시오. 이는 API 정의를 더 쉽게 이해하고 유지보수할 수 있게 합니다. 데이터 모델 이름에는 파스칼케이스(PascalCase, 예: UserProfile)를, 매개변수 이름에는 카멜케이스(camelCase, 예: userId)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십시오.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 사용

컴포넌트(Components) 섹션을 활용하여 스키마, 매개변수, 응답과 같은 재사용 가능한 객체를 정의하십시오. 이는 API 정의의 일관성을 높이고 중복을 줄입니다.

예제 값 제공

매개변수 및 응답에 대한 예제 값을 포함하여 개발자가 예상 데이터 형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십시오. 이는 통합 시간을 크게 단축하고 오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날짜 매개변수의 경우 "2023-10-27"과 같은 예제를 제공하여 예상 형식을 명확히 하십시오.

적절한 데이터 유형 사용

모든 매개변수와 속성에 대해 올바른 데이터 유형을 지정하십시오. 이는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고 예기치 않은 오류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일반적인 데이터 유형에는 string, integer, number, boolean, array가 있습니다.

오류 응답 문서화

HTTP 상태 코드와 오류 설명을 포함하여 가능한 모든 오류 응답을 명확하게 문서화하십시오. 이는 개발자가 오류를 정상적으로 처리하고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일반적인 오류 코드에는 400(잘못된 요청), 401(권한 없음), 403(금지됨), 404(찾을 수 없음), 500(내부 서버 오류)이 포함됩니다.

API 정의 최신 상태 유지

API가 발전함에 따라 OpenAPI 정의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십시오. 이는 문서가 API의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반영하도록 보장합니다. API가 변경될 때마다 API 정의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하십시오.

유효성 검사 자동화

CI/CD 파이프라인에 OpenAPI 유효성 검사를 통합하여 API 정의에 대한 모든 변경 사항이 유효하고 조직의 표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하십시오. 이는 오류를 방지하고 API 생태계 전반의 일관성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OAS 버전: 올바른 버전 선택하기

OpenAPI 사양은 여러 버전을 거쳐 발전해 왔습니다. 오늘날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버전은 3.0.x와 3.1.x입니다. 두 버전 모두 동일한 핵심 원칙을 공유하지만 몇 가지 주요 차이점이 있습니다:

올바른 버전을 선택하는 것은 특정 요구 사항과 사용 중인 도구에 따라 다릅니다. 새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OpenAPI 3.1.x가 권장됩니다. 그러나 3.1.x를 완전히 지원하지 않을 수 있는 기존 도구로 작업하는 경우 OpenAPI 3.0.x가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실제 세계에서의 OpenAPI 활용 사례

다양한 산업 분야의 많은 조직이 API 문서 및 개발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해 OpenAPI 사양을 채택했습니다.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OpenAPI를 통한 API 문서의 미래

OpenAPI 사양은 API 생태계의 변화하는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미래 동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결론

OpenAPI 사양은 오늘날의 연결된 세계에서 API를 설계, 문서화 및 사용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OAS를 채택하고 모범 사례를 따르면 개발자 경험을 개선하고, API 검색 가능성을 높이고, API 거버넌스를 단순화하고,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내부용이든 외부용이든 API를 구축하는 경우 OpenAPI 사양은 더 강력하고 안정적이며 사용자 친화적인 API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OpenAPI 사양의 힘을 받아들여 API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십시오. 개발자(그리고 비즈니스)가 감사할 것입니다.